학문 간 경계를 넘어 미래와 세계를 향해나아가는 나만의 진로설계
개인 맞춤형 커리어 디자인, 다양한 학과·전공 체험, 해외 유수 대학과의 연결을 통한
성공적인 역량 강화!
서울사이버대학교 자유전공은 다양한 학문을 경험하며 자신만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자유로운 학습의 장을 제공합니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전, 개인의 가능성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는 맞춤형 진로설계와 융복합 교육으로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강의체험
학과홈페이지
이의신 교수 부총장
주요경력 |
문화예술대학 학장, 문화예술경영학과 학과장 |
담당과목 |
예술경영입문Ⅰ |
연락처 |
02-944-5197 |
교수진소개 상세보기이며 학력, 경력, 주요연구실적, 담당교과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학력 |
- 고려대학교 문학박사(문화콘텐츠학)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전문사(예술경영과 예술경영전공) - 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Arts Management Diploma - 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MA 수료 |
경력 |
- 현) 문화체육관광부 정책기획관실 정책연구심의 소위원 - 현) 국립중앙극장 운영심의회 위원 - 현) 세종문화회관 이사 - 현)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이사 - 현) 한국지역문화학회 이사 - 현) 한국문화경제학회 이사 - 현) 다산아트홀 운영위원 - 현) 강남문화재단 예술단 운영위원 - 현) 남양주 시립예술단 운영위원 - 현) 광명시 축제위원회 위원 - 현)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한국공연예술산업연구소 자문위원
-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학과 외래교수 - 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행정학과 외래교수
- 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미래전략소위원회 위원 - 전) 도봉문화재단 비상임이사 - 전) 고양문화재단 자문위원 - 전) 용인문화재단 인사위원 - 전) 강북문화재단 인사위원 - 전) 한국체육산업개발 비상임이사 - 전) 경기공연예술페스타 추진위원 - 전) 의정부음악극축제 자문위원 - 전) Black Music Festival 자문위원 - 전) 대한적십자사 홍보 자문위원 - 전)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홍보부회장 - 전) 지역대표공연예술제 평가위원 - 전)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자문위원 - 전) 예술경영지원센터 웹진<예술경영>편집위원 - 전) 용인문화재단 포은아트홀 자문위원 - 전) 문화예술진흥기금사업 평가위원 - 전) 성남문화재단(성남아트센터) 공연기획 과장 - 전) 공연기획 ‘아르떼’ 대표 |
주요연구실적 |
『 지역 예술관광 활성화 요인에 관한 탐색적 고찰 』 미래사회 (2023) 『더 프로듀서』 공동저자,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연극과인간 (2022) 『경기공연예술생태계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경기지회 (2022) 『 뉴노멀 시대의 공연아트마켓 활성화방안 연구』 미래사회 (2020) 『유럽문화수도 사례로 본 문화도시 지정사업의 방향성 고찰』 예술경영연구 (2019) 『 지역축제가 생활문화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와 융합 (2018) 『 국내 공연예술 마켓의 협업 방안 연구』 문화경제연구 (2018) 『 4차산업혁명시대 아시아문화전당 발전방안 -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2018) 『 공연예술산업 유통단계에서의 브랜드 구축방안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8) 『 뮤지컬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아웃바운드 프로모션 사례 연구 - K뮤지컬 로드쇼를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18) 『 미술 대중화를 위한 작가중심형 아트페어 사례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 서울아트마켓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플랫폼 도입방안 고찰 』 한국과학예술포럼 (2018) 『 아시아문화콘텐츠 창작,제작의 선순환 시스템 구축방안 소고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문화기반 학제간 융복합 국제세미나,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7) 『 4차 산업혁명시대, 공연예술산업을 위한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고찰 』 한국과학예술포럼 (2017) 『 공연예술산업의 유통부문 지원 개선방안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예술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사례 고찰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 한-불 상호교류의 해 문화예술분야 백서 』 공동집필,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한불상호교류의 해 조직위원회(2017) 『 Audience Development through the customer-oriented performance planning 』 The 34th FACP Annual Conference in Penang (2016) 『 지역축제의 참여 주체간 거버넌스 연구 』 한국과학예술포럼 (2016) 『 한국 뮤지컬의 중국 진출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 한국음악응용학회 (2014) 『 윤이상의 음악세계로 살펴본 통영국제음악제의 발전방향 』 한국콘텐츠학회 (2014) 『 공연기획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 예솔 (2003)
- 강수진&슈투트가르트발레단, 지안왕&BBC심포니오케스트라, 장한나의 ‘앱솔루트 클래식’, 베를린 필하모닉 옥텟, 크리스티안 틸레만&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더 파이브 브라운즈, 기돈크레머, 나이젤케네디, 리옹 오페라 발레단, 에미오 그레코&피터숄튼, 네덜란드 댄스 씨어터Ⅱ, 노보시비르스크 발레단 등 세계적 수준의 예술가, 예술단체의 한국 초연 및 기획, 제작 - 국제 무용 페스티벌, 국제 청소년 관현악 페스티벌 기획 - 공연을 통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 |
담당교과목 |
공연기획과제작의기초
, 극장경영
, 문화공간경영
, 예술경영사례연구
, 예술경영입문Ⅰ
, 예술경영입문Ⅱ
, 하우투(HOWTO)예술경영
|
상기 콘텐츠 담당부서 교무팀 (Tel : 02-944-5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