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ENG

요가명상학과(교수진소개)

특수치료학과 사진

“치유요가"와 “치유명상"으로 안내하는
심신의 균형과 회복의 여정!

자연의 리듬으로 치유하는 요가와 명상

요가명상학과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요가와 명상의 치유 가치를 탐구하며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신체와 마음의 균형을 위한 전통적 치유체계와 현대의 과학적 접근을 융합하여, 치료 효과가 검증된 ‘치유요가'와 ‘치유명상'을 교육합니다. 이를 통해 본 학과는 자연의 리듬을 활용한 심신 회복과 균형을 촉진하는 자연치유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온라인강의체험 학과홈페이지

다른 교수진 선택

이거룡교수사진

이거룡 교수

주요경력 University of Delhi 철학박사(인도철학)
담당과목 인도철학, 차크라명상
교수진소개 상세보기이며 학력, 경력, 주요연구실적, 담당교과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학력 University of Delhi 철학박사(인도철학)
경력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및 부총장
- 선문대학교 대학원 교수 및 통합의학대학원장
- 요가학교 리아슈람 교장
- 사) 한국인도학회 회장
- 사) 한국요가협회 자문위원
- 사) 한국요가연합회 자문위원
- 사) 세계자연건강포럼 대표
- Sanchi University of Buddhist-Indic Studies, Member of Mentor Group
- University of Madras, Chennai, India 초빙교수
- ICCR Distinguished Indologist Award 2019 수상
주요연구실적 *자격
- Yoga Siromani (Teacher of Yoga) , International Sivananda Yoga Vedanta Centre, Neyyar, Kerala, India

*용역 연구
- 아유르베다(Ayurveda) 체질의학에 의거한 요가테라피 국내 활용 방안 연구(한국연구재단, 2016-2018)
- 인도 신화의 양성구유 관점에서 본 여성의 남성화 또는 남성의 여성화 문제(한국연구재단, 2012-2013)
- 상키야(Samkhya) 사상에 대한 라마누자(Ramanuja)의 비판(한국연구재단, 2011)
- 인도 문화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의 고전 연구(한국연구재단, 2010-2013)
- 한국에서 요가(Yoga)수행에 대한 고찰과 그 방안 연구(한국연구재단, 2009-2011)

*저서
- 요가수뜨라(Yoga-sutra) 해설(선문대학교 출판 부, 2017)
- 아름다운 파괴(한길사, 2010)
- 이거룡의 인도사원순례(한길사, 2003)
- 전륜성왕 아쇼까(도피안사, 2009)
- 두려워하면 갇혀버린다(명진출판, 1996)
- 고개를 숙이고 두 손을 모으다(한솔교육, 2010)
- 구도자의 나라 인도(명진출판, 1999)
- 세계문화유산의 이해(충북대학교박물관, 2010)
- 인도철학사(1-4, 한길그레이트북스 3-6, 1998-2002, 번역서)
- 달라이라마의 관용(아테네, 2006, 번역서)
- 길을 묻다, 간디와 함석헌(프리칭아카데미, 2011, 공저)
- 인문학의 창으로 본 과학(한겨레출판, 2006, 공저)
- Quantum Reality and Theory of Shunya (Springer, 2019, 공저)
- 종교산책(문사철, 2015, 공저)
-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예문서원, 1998)
-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한길사, 1999, 공저)
- 요가와 문화(참글세상, 2013, 공저)
- 고전의 반역(나녹, 2015, 공저)

*논문
- 아유르베다, 요가, 딴뜨라에서 몸(Sarira)의 구원론적 의미 -5종 조대요소 병렬구조, 5겹 덮개 중층구조, 남성-여성 양극 구조를
중심으로( 2013, 인도철학, Vol.39)
- 한국에서 하타요가(Ha?ha-yoga)의 변용과 전망( 2010, 남아시아연구 Vol.16 No.2)
-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 아그니(Agni)의 의미에 대한 고찰(2016, 남아시아연구 Vol.22 No.2)
- 요가(yoga)전통에서 영성교육의 현대적 의미에 대한 고찰(2007, 남아시아연구 Vol.13 No.1)
- 아유르베다에 의거한 요가 아사나(asana) 수련의 마음치유원리(2017, 인도철학 Vol.51)
- 『짜라까상히따(Caraka-sa?hita)』에서 감각기능(indriya)과 질병의 관계에 관한 연구(2020, 인도연구 Vol.25 No.2)
- 아유르베다에서 스로따스(Srotas)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2021, 인도연구 Vol.26 No.1)
- 인도 수행전통에서 물질적 소유의 의미(2007, 인도연구 Vol.12 No.2)
- 불교의학과 아유르베다(Ayurveda)(2023, 불교학보 Vol.101)
- 『짜라까상히따(Caraka-Sa?hita)』에서 마음에 대한 고찰(2022, 아유르베다융합연구 Vol.13 No)
- 힌두교와 그리스도교의 수행관 비교( 2003, 인도연구 Vol.8 No.2)
- 인도신화의 양성구유(Ardhanarishvara) 이상의 관점에서 본 남성의 여성화 또는 여성의 남성화 문제(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1)
- 아유르베다 태교에서 임산부의 감각 경험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고찰(2024,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7)
- 하타요가(Ha?hayoga)의 무드라(Mudra)와 반다(Bandha) 및 케겔(Kegel)운동 연구(2018, 남아시아연구 Vol.23 No.3)
- 차크라 각성과 자율신경 면역의 상관 관계에 대한 문헌 고찰(2019,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0 No.3)
- 『바가바드기따(Bhagavadgita))』의 보편성 : 까르마 요가(karma-yoga)를 중심으로(2010, 인도철학 Vol. 29)
- 요가치료 문헌 고찰을 통해 본 현황과 발전 방향(2022, Journal of Naturopathy Vol.11 No.1)
- 아유르베다와 현대 음식의 맛 고찰 및 미각 교육 연구(2023,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4 No.-)
- 티베트 싱잉볼 차크라 배열과 차크라 연꽃 만뜨라의 상승 구조의 유사성 연구(2023,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1 No.1)
-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식습관의 매개 효과 분석(2022 Journal of Naturopathy Vol.11 No.2)
- 만트라(Mantra)와 얀트라(Yantra)의 상관성 연구(2023, 아유르베다융합연구 Vol.14)
- 요가수뜨라(Yogasutra)의 스므리띠(sm?ti)에 관한 고찰 - 요가수뜨라(Yogasutra) 1.20의 스므리띠(sm?ti)와 현대요가에서
마인드풀니스요가(Mindfulness Yoga) 적용 문제를 중심으로(202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5 No.2)
- A Study of Sa-Ahm's Thoughts on the Four-needle Acupuncture Technique with the Five-element Theory(2014
Journal of Acupuncture & Meridian Studies Vol.7 No.5)
- Dharma as Principle of Self-denial and Emptiness (Journal of Indian Council of Philosophical Research, 2022. 03)
- 케겔(Kegel)의 골반기저근 강화 운동과 하타요가(Ha?hayoga)의 무드라(Mudra)와 반다(Bandha) 수련 비교(2016, 인도연구
Vol.21 No.1)
- 싱잉볼 힐링이 자율신경계 반응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2023, 감성과학 Vol.26 No.4)
-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비교 연구: 3-도샤(dosha)이론과 오행체질이론을 중심으로(2018,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9
No.4)
- 대체의학으로서의 도구 활용 요가(2022,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
- 라마누자(Ramanuja)와 화이트헤드(A.N. Whitehead)의 유기체적 우주론에 대한 비교 고찰(2002, 인도철학 Vol.11 No.2)
- 틱낫한의 평화사상(2011, 한국불교학 Vol.60)
- 불교와 힌두교에서 육식 금지 문제(2003, 한국불교학 Vol.33)
- 인도 육파철학의 인과론에 대한 고찰(1998, 남아시아연구 Vol.3)
- 인도사상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2004, 한국불교학 Vol.37)
- 샹까라(Sankara)의 Avidya이론에 대한 라마누자(Ramanuja)의 비판(2004, 인도철학 Vol.17)
- 업설(Law of Karma과 은총(Peasada)의 양립 문제 - 라마누자의 박띠( bhakti )를 중심으로(1995, 인도철학 Vol.5 )
- 우빠니샤드 신비주의와 불교(2014, 한국불교학 Vol.72 )
- 불교와 환경 위기(2005, 한국불교학 Vol.42 No.-)
- 원효와 Ramanuja의 사상에서 일자와 다자의 문제(2002, 한국불교학 Vol.31)
- 『베단따수뜨라』(Vedanta-sutra)에 대한 샹까라(?ankara)와 라마누자(Ramanuja)의 주석 비교(2012, 남아시아연구
Vol.18 No.2)
- 한정불이론(Visistadvaita)학파의 전변설(Parinamavada)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3, 인도철학 Vol.12 No.1)
- 베다(Veda)문헌 형성 과정에서 비아리야(non-Aryan)적 요소의 유입에 관한 연구(2009, 남아시아연구 Vol.15 No.1)
- 김해 파사석탑의 유실 부재에 관한 연구(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41)
- 파사석탑 고찰 - 가락국과 아유타국의 해양문화교류 가능성을 중심으로(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34)
- 타밀(Tamil)불교의 가락국 전래 가능성 고찰- 허황옥의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40)
-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Ayodhya)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3)
담당교과목 요가철학
상기 콘텐츠 담당부서 교무팀 (Tel : 02-944-5224)

퀵메뉴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