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ENG

응용수학·통계학과(교육과정)

응용수학·통계학과 사진

수학적 사고와 통계적 추론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 양성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개별화 학습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과 실무 역량 향상

응용수학·통계학과는 수학적 사고와 통계적 추론을 바탕으로 데이터·AI·블록체인 시대를 선도할 실용적 수리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직장인과 비학과자도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트랙별 커리큘럼 및 개인 맞춤 수업을 제공합니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실무 역량을 함께 갖춘 합리적 문제 해결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강의체험 학과홈페이지

    커리큘럼

    2026년 커리큘럼 상세내용 - 학년, 이수구분, 교과목정보(교과목명, 자격, 학점), 개설학기(1, 하계, 2, 동계)를 보여줌
    학년 이수
    구분
    교과목정보 개설학기
    교과목명 자격 학점 1 하계 2 동계
    1 전공선택 공학수학기초 3 개설
    1 전공선택 기초수학1 3 개설
    1 전공선택 기초수학1연습 3 개설
    1 전공선택 수학으로보는세상 3 개설
    1 전공선택 응용수학·통계개론 2 개설
    1 전공선택 집합론 3 개설
    1 전공선택 0과1의세계(이산수학) 3 개설
    1 전공선택 공학수학 3 개설
    1 전공선택 기초수학2 3 개설
    1 전공선택 기초수학2연습 3 개설
    1 전공선택 수학사 3 개설
    1 전공선택 정수론 3 개설
    1 전공선택 AI프로그래밍기초 3 개설
    1 전공선택 IT기초수학 3 개설
    1 추천교양 코딩첫걸음 3 개설
    2 전공선택 미적분학 3 개설
    2 전공선택 빅데이터기초수학 3 개설
    2 전공선택 선형대수학 3 개설
    2 전공선택 컴퓨팅사고 3 개설
    2 전공선택 파이썬데이터분석 3 개설
    2 전공선택 해석학 3 개설
    2 전공선택 확률과통계 3 개설
    2 전공선택 데이터과학실습 3 개설 개설
    2 전공선택 미분방정식 3 개설
    2 전공선택 빅데이터분석및AI모델링 3 개설
    2 전공선택 수리통계학 3 개설
    2 전공선택 암호의이해 3 개설
    2 전공선택 현대대수학 3 개설
    3 전공선택 코드없이따라하는머신러닝 3 개설 개설
    3 전공선택 복소해석학 3 개설
    3 전공선택 빅데이터통계분석 3 개설
    3 전공선택 암호수학 3 개설
    3 전공선택 위상수학 3 개설
    3 전공선택 회귀분석 3 개설
    3 전공선택 미분기하학 3 개설
    3 전공선택 수치해석기초 3 개설
    3 전공선택 실험설계와데이터분석 3 개설
    3 전공선택 조사방법론 3 개설
    4 전공선택 다변량통계분석 3 개설
    4 전공선택 데이터분석과시각화 3 개설
    4 전공선택 블록체인과데이터분석 3 개설
    4 전공선택 통계프로그래밍 3 개설
    4 전공선택 데이터모델링과SQL(SQLD) 3 개설
    4 전공선택 딥러닝 3 개설
    4 전공선택 시계열분석 3 개설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 교과목명, 교과목소개를 나타낸 표
    교과목명 교과목 소개
    3D프린터
    (3D Printer)
    최근 가장 큰 사업 아이템 및 새로운 분야로 각광 받고 있는 3D프린터는 3차원의 형상을 만드는 도구로서 이 수업에서 3D프린터의 사용법 뿐 만 아니라 제반사항들을 강의한다. 3D프린터 교육은 개인이 아이디어를 짜서 제품을 3D모델링하고 출력하고. 그 특허의 등록이나 마케팅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학생들이게 강의한다.
    공공환경디자인
    (Public, Environmental Design)
    1.2주차에는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그 기초를 다지고 영역을 이해 할수 있다. 3,4주차에는 공공디자인의 분류를 위해 공공시설물, 공공공간, 공공색채, 공공매체에 대한 정의와 세부내용, 관련 영역에 대하여 살펴본다. 5,6,7주차에는 현재 공공디자인이 지향하는 디자인트렌드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접근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9,10주차에는 공공디자인실무에서 대표적인 사이니지 프로젝트를 소개함으로써 공공디자인 분야에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한다. 11,12주차에는 시각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측면인 타이포그래피, 또는 픽토그램 등을 학습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13,14주차에는 국내외 공공디자인 우수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그 시각을 넓히고 앞으로 공공디자인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수업은 공공디자인의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공공디자인의 트렌드에 대하여 알아보고,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들어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를 돕고자 한다.
    공예디자인
    (Crafts Design)
    공예 디자인 교과목은 다양한 재료에 대한 체험적, 실질적 연구를 통하여 재료미를 활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재료의 활동범위를 극대화 시키면서 기술과 인간의 공예정신, 조형성을 결합시키는 것에 교육목표를 둔다.
    뉴미디어인포그래픽디자인
    (New Media Infographics Design)
    본 강의를 통해 기존의 매체성을 발전시켜 시각디자인 영역의 확대와 안정적인 발전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양한 방법의 정보들을 소비자로서, 또는 전달자로서 새롭게 인지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철저한 트렌드 분석력과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시각디자이너의 양성이 필요하다..
    디자인조형과기호
    (Design Form and Semiotics)
    디자이너들에게 필수적인 기호학적 사고를 향상시키며,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시각 언어의 규칙을 탐구한다. 아이디어와 이론의 결합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소개하며, 현재의 시각 디자인 및 예술 분야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디자인코디네이션전략
    (Design coordination strategy)
    오늘날 디자인은 기업 경영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디자인은 기업의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경영을 위해서 견고한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이 과목을 통해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션그래픽디자인
    (Motion Graphic Design)
    모션 그래픽의 디자인적 개념과 작업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애프터이펙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습에 집중한다. MV, 영화타이틀, Station ID 등의 실례를 분석하고, 각 미디어형태별 기획의 핵심을 익힌다.
    목공예제품디자인연구
    (Woodworking product design research)
    인간 생활에 필요한 목공예 및 다양한 소재로한 공예제품들의 표현기법을 익히고 응용하여 제품디자인 개발능력을 향상한다. 또한, 융.복합 재료 확장을 통해 타 분야 간의 연결성을 뉴-트렌드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력 확장을 돕는다.
    미디어광고디자인
    (Media Advertising Design)
    “광고란 소비자의 욕구나 필요에 맞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시함으로써 구매행동을 촉진시키거나 광고주 자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유료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다.” 미디어광고디자인(Media Advertising Design)은 뉴 미디어시대 매스미디어에 노출되는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컨셉에 맞는 표현방법을 소비자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교수하는 것이 교육의 큰 목표이다. 또한 성공적인 광고 캠페인의 커뮤니케이션전략은 논리와 창의성이 크게 작용하므로 국내외 작품 및 사례 연구와 이론을 겸한 밀도 있는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현장에서 재교육이 필요 없는 멀티 형 실무디자이너 양성으로 재학생 취업률 제고에 앞장선다.
    미술치료
    (Art Therapy)
    개인의 미술 활동 분석을 통한 고전적인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의 정신진단 및 치료뿐만 아니라, 실제 창작 행위를 통하여 꾀할 수 있는 교육적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초 이론을 고찰하고, 학교현장에서 미술을 매개로 한 교육적 치료효과의 적용 능력을 배양한다.
    미술치료학개론
    (Introduction to Art Therapy Counseling)
    미술치료의 기본이 되는 이론적 배경 및 기초적인 치료기법을 학습한다.
    브랜드디자인
    (Brand Design)
    브랜드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중요한 개념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브랜드디자인은 디자인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함께 차별성 있는 전략이 요구됨에 따라 본 교과목에서는 브랜드 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 통용되는 브랜드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왕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브랜드디자인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디자인
    (Visual Design of Photography)
    사진 디자인은 사진의 기본 원리와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와 컨셉에 맞는 사진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배우는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사진의 역사, 사진의 기초 원리, 사진 촬영 기술, 사진 편집 기술 등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사진 디자인의 기본 역량을 함양한다.
    색연필아트
    (Colored pencil art)
    색연필아트는 현대인에게는 각박한 일상에서 마음의 여유를 되찾고 긍정적 마음으로 다스리는 데 매우 효과적인 분야이다.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재료인 색연필을 사용해 아름다운 꽃 등을 채색하는 과목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채색을 하는 과정으로 조형적 이해와 표현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색채디자인
    (Color Design)
    색의 지각과 색의 삼속성 그리고 색채조화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색채심리와 색채계획의 다양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이 이루어진다.
    생활아트디자인
    (Life and Art Design)
    [생활아트디자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원리와 적용 사례를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디자인이 단순히 미적인 요소를 넘어, 우리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디자인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디자인의 역사적 흐름과 다양한 스타일, 그리고 최신 트렌드를 학습하며, 이를 통해 주변 세계를 디자인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는 시각을 키웁니다.
    섬유코디네이션디자인
    (Fabric coordination design)
    인간 생활의 가장 밀접한 재료인 섬유를 소재로 염색기법, 표현기법을 익히고 응용하여 섬유제품디자인 개발능력을 향상한다. 또한, 융.복합 재료 확장을 통해 타 분야 간의 연결성을 뉴-트렌드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력 확장을 돕는다.
    스토리텔링영상
    (Storytelling of Image)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란 단순히 ‘이야기하기’가 아니라, 지식기반산업에 언어적 생명력을 고취하여 새로운 문화체계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현대의 다양한 대중매체인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CF), 방송, 캐릭터, 모바일, 인터넷, 예술과 공연,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등의 문화콘텐츠를 언어체계로써 활성화하는 방법을 배우고 영상 제작에 직접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인 스토리텔링 기법과 카메라 워크를 이용한 영상 제작 기법을 익히고 "프리미어 프로"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실제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 이미지를 소스로 영상을 제작한다.(웹모션디자인 과목명 변경)
    아이디어발상
    (Idea Conception)
    아이디어 발상이란 모든 시각예술 분야에서 필수적인 예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해서 각자 자신의 개성적 스타일과 자아를 창조하고 드러낼수 있는 매우 흥미있는 과정을 겪게 될 것입니다. 특히 본 강좌를 통해서 훌륭하게 아이디어를 세상에 내놓은 좋은 작업들을 보면서 아이디어에 대해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과정이 될 것 입니다.
    웹기획과퍼블리싱
    (Web planning and publishing)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웹 컨텐츠의 제작에 대해 알아보고 직접 제작합니다. 특히 웹 디자인에 필수인 HTML 과 자바스크립트의 언어적인 부분과 컨텐츠 제작 프로그램인 나모와 드림위버를 비교해가며 컨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강의입니다.
    웹디자인포트폴리오
    (Web Design Portfolio)
    HTML5, PHP, 데이터베이스 등 웹사이트의 퀄리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무적 웹 사이트를 완성한다.
    웹툰시나리오
    (Webtoons Scenario)
    웹툰에 대해 기초적으로 학습한다. 웹툰의 성격 접근법 특징 등에 대해 학습하고 실험한다. 웹툰시나리오의 제작상의 과정이나 실제적 과정을 통하여 웹툰작가의 탄생을 목적으로 한다
    웹툰실습프로젝트
    (Train for Webtoon Autor)
    본 과목은 웹툰 제작자가 되기 위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해 웹툰 공정에 대한 지식과 공정별 주체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 각자만의 웹툰 제작의 기준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 과목입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웹툰 제작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웹툰 스토리를 기획, 개발하고 제작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합니다.
    출판편집디자인
    (Desktop Publishing)
    출판편집디자인은 그리드와 타이포그래피를 바탕으로 편집디자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쇄 편집 기술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캐릭터디자인
    (Character Design)
    1. 캐릭터 드로잉 - 데스크 드로잉 및 선표현 방법 등 기초 드로잉 - 얼굴, 신체표현, 의인화연구 등 다양한 캐릭터 드로잉 2. 캐릭터 발상: - 여러 가지 모티브 추출법등을 통한 창의적인 발상 훈련 - 캐릭터 개발을 위한 실무적 캐릭터 드로잉 프로세스 3. 캐릭터 디자인: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를 통한 실무적 표현기법을 통한 캐릭터 디자인 - 캐릭터 디자인 실무 프로세스
    컬러리스트실무
    (Colorist Business)
    색채 디자인을 바탕으로 실제 제품, 공간 등에 적용된 다양한 사례 분석과 함께,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색채의 활용법에 대해 학습한다.
    타이포그라피
    (Typography Design)
    커뮤니케이션 중심에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기본원리와 역사 그리고 기본적인 다섯가지 글꼴을 통하여 활자 디자인을 배운다. 타이포그래피의 기초 원칙들과 디자인 실전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글꼴 감각을 배워 능력을 갖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키지디자인
    (Package Design)
    시각적으로 기분 좋은 외관을 구성하는 것만이 포장문제에 대한 전제 조건은 아니다. 성공적 포장은 경제성, 실용성, 심미성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들의 실현을 위하여 교육시키고 나아가 기본적 조건이 형성된 위에 학생들에게 직접 기획을 통해서 창의적 포장기법을 개발시키는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인터렉티브디자인 과목명 변경)
    AI3D디지털디자인
    (AI 3D Digital Design)
    최근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기술은 이제 디자인 영역에서도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습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AI를 창의적인 디자인 도구로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디지털일러스트레이션
    (AI Digital Illustration)
    최근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기술은 이제 디자인 영역에서도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습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AI를 창의적인 디자인 도구로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마케팅디자인
    (AI Marketing Design)
    'AI마케팅 디자인'은 전통적인 마케팅 기획 및 디자인에 AI 기술을 융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목입니다. AI를 활용하여 시장과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는 훈련을 합니다. 학생들은 데이터에서 전략적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하게 됩니다.
    AI영상디자인실무
    (AI Media Moving Project)
    최근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기술은 이제 디자인 영역에서도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습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AI를 창의적인 디자인 도구로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컴퓨터그래픽
    (AI Computer Graphics)
    최근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기술은 이제 디자인 영역에서도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습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AI를 창의적인 디자인 도구로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NS콘텐츠AI디자인
    (SNS Contents AI Design)
    SNS 콘텐츠 AI 디자인 과목은 SNS 플랫폼에 최적화된 콘텐츠 기획 및 제작 기법을 학습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콘텐츠 생성 실습에 중점을 둔다. 주요 SNS 채널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각 플랫폼별 기획 전략을 익혀 실무에 활용 가능한 역량을 배양한다.
    UI/UX디자인
    (UI/UX Design)
    앱디자인에 앞서 선행되어야하는 User Experience와 User Interface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그래픽 툴을 활용하여 앱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상기 콘텐츠 담당부서 교무팀 (Tel : 02-944-5224), 응용수학·통계학과 (Tel : 02-944-5652)

퀵메뉴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