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서울사이버대학교(www.iscu.ac.kr) - 학교법인 신일학원

ENG

드론·로봇공학과(교육과정)

로봇융합학과 사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드론ᆞ로봇융합학과

세계 드론, 로봇 산업의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전문가 양성

체계적인 교과과정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자격증 취득의 기회와 항공 드론 개발 및 운용 전문가를 배출하고 관련 산업계의 진출하거나 창업도 가능한 전문가를 양성하여 미래의 항공드론 로봇 산업을 선도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한다

온라인강의체험 학과홈페이지

커리큘럼

2026년 커리큘럼 상세내용 - 학년, 이수구분, 교과목정보(교과목명, 자격, 학점), 개설학기(1, 하계, 2, 동계)를 보여줌
학년 이수
구분
교과목정보 개설학기
교과목명 자격 학점 1 하계 2 동계
1 전공선택 기계공학개론 3 개설 개설
1 전공선택 드론공학개론 3 개설
1 전공선택 항공기상 3 개설
1 전공선택 대학물리 3 개설 개설
1 전공선택 데이터과학실습 3 개설 개설
1 전공선택 공학수학 3 개설
1 전공선택 로봇공학개론 3 개설
1 추천교양 컴퓨터이해와활용(e-test) 3 개설 개설
1 추천교양 나와세상을위한글쓰기 3 개설
1 추천교양 성찰의인문학 3 개설 개설
2 전공선택 드론모의조종 3 개설 개설 개설 개설
2 전공선택 기초전자공학 3 개설 개설
2 전공선택 공학수학기초 3 개설
2 전공선택 드론로봇CAD설계 3 개설
2 전공선택 메카트로닉스 3 개설
2 전공선택 재료역학 3 개설
2 전공선택 항공공학개론 3 개설
2 전공선택 ROS프로그래밍입문 3 개설
2 전공선택 3D프린터 3 개설
2 전공선택 3DCAD설계 3 개설
2 전공선택 기구학 3 개설
2 전공선택 드론3D설계 3 개설
2 전공선택 드론표준학개론 3 개설
2 추천교양 게임의올바른이해와활용 3 개설 개설
2 추천교양 커뮤니케이션스킬 3 개설 개설
3 전공선택 드론로봇SW 3 개설
3 전공선택 드론영상제작및활용 3 개설
3 전공선택 아두이노전자공학실험 3 개설
3 전공선택 동역학 3 개설
3 전공선택 드론과인공지능 3 개설
3 전공선택 디지털논리회로 3 개설
3 전공선택 라즈베리파이-사물인터넷실험 3 개설
3 전공선택 스마트팩토리 3 개설
3 전공선택 실험계획법 3 개설
3 전공선택 제어공학 3 개설
3 전공선택 프로그래밍언어(C++) 3 개설
3 전공선택 항공유체역학 3 개설
3 전공선택 회로이론 3 개설
3 추천교양 투자심리학을만나다 3 개설 개설
3 추천교양 우리안의글로벌이슈 3 개설
3 추천교양 내집의모든것 3 개설 개설
4 전공선택 3DCAD실습 3 개설
4 전공선택 동역학해석 3 개설
4 전공선택 로봇설계공학 3 개설
4 전공선택 유공압회로설계 3 개설
4 전공선택 군집드론프로그래밍 3 개설
4 전공선택 드론관제사 3 개설
4 전공선택 드론로봇최적설계 3 개설
4 전공선택 드론운용및정비 3 개설
4 전공선택 시퀀스제어 3 개설
4 전공선택 신재생에너지 3 개설
4 전공선택 알고리즘 3 개설
4 전공선택 전산유체및구조해석 3 개설
4 전공선택 전자회로 3 개설
4 전공선택 정역학 3 개설
4 전공선택 PLC제어 3 개설
4 추천교양 문화로보는세계 3 개설 개설

교과목소개

교과목명,교과목소개를 나타내는 표
교과목명 교과목 소개
3D프린터
(3D Printer)
최근 가장 큰 사업 아이템 및 새로운 분야로 각광 받고 있는 3D프린터는 3차원의 형상을 만드는 도구로서 이 수업에서 3D프린터의 사용법 뿐 만 아니라 제반사항들을 강의한다. 3D프린터 교육은 개인이 아이디어를 짜서 제품을 3D모델링하고 출력하고. 그 특허의 등록이나 마케팅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학생들이게 강의한다.
3DCAD설계
(3DCADdesign)
3DCAD설계는 Autodesk사의 Inventor를 중심으로 3차원 파라메트릭 설계의 전 과정을 학습하는 과목임. 수강생은 부품 모델링, 어셈블리, 도면화, 설계 변경 관리까지 이어지는 핵심 절차를 실습 기반으로 익히며 제품 설계과정에서의 요구사항 정의, 개념설계, 상세 모델링, 검증, 도면화까지 학습할 수 있음.
3DCAD실습
(3D CAD Practice)
3D CAD 실습은 기계제어공학과의 자격증 과목으로서 컴퓨터 그래픽스의 분야에서 대상으로 하는 3차원 기하 형태를 3차원 가상 공간속에 재현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3D CAD 소프트웨어 개요, Sketcher, Part Design, Wire frame, Surface Design, Assembly Design, Drafting 등에 관한 학습 및 실습 교육을 목표로 한다.
공학수학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공학수학은 공학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수학으로 만들어진 과목으로서 공학 전공에서 요구되는 수학 지식을 교육한다. 공업수학의 범위가 방대하지만, 본 과목에서는 특히 전기전자공학에서 요구되는 수학적 지식으로서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해석학, 선형대수학 등에 관한 교육을 포함한다.
공학수학기초
(Basic Engineering Mathematics)
- 공학 이론에 많이 사용되는 여러 기본적인 수학 이론 학습 - 미적분 기본 개념, 삼각함수, 복소수, 벡터, 행렬 등의 공학수학 기본 개념 학습 -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기초적인 수학 이론 습득`
군집드론프로그래밍
(Swarm drone programming)
군집드론 드론쇼 연출 디자인은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항공 퍼포먼스를 기획, 설계 구현하는데 초점을 둔 실무형 과목임. 아이디어 콘셉트 도출부터 2D/3D 형상 디자인, 포메이션 전환 타임, 경로 최적화 등 드론쇼 제작의 포커스를 두어 프로그래밍의 방법을 익히는 교과목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다수 기체의 군집 모션을 시각적으로 설계, 색, 빛 연출과 공간 구성을 결합하여 프로그래밍, 실제 드론의 실습을 통해 공연을 제작함.
기계공학개론
(Introduction to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로, 기계공학이 단순히 기계를 다루는 것이 아닌, 기계 시스템을 다루고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문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기계공학의 개요, 역사, 커리큘럼을 간단히 소개하고 기계공학과 4대 역학의 기본개념을 다룬다. 또한 기계공학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특강을 통해 현업에서 어떤 업무를 하며 어떤 역량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본다.
기구학
(Kinematics of Machines and Mechanisms)
기구학은 기구계의 운동을 배우는 과목으로, 기계를 구성하는 강체들의 기하학적 형상과 시스템의 운동학적 구조, 운동 및 동력의 전달과정 해석법을 배운다. 기구 및 기계장치의 운동 메커니즘을 강의하며, 기계요소들의 구성과 움직임, 이들에 대한 수학적 풀이법, 기구의 변위와 속도해석, 가속도 해석 및 기구의 선형해석 운동 메커니즘에 대한 동적 특성을 학습한다.
기초전자공학
(Basic Electronics)
본 과목은 전기전자 여러 분야의 기초가 되는 이론을 비전공자 혹은 입문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과정을 담고 있다. IT, 통신, 반도체, IoT,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꼭 알고 있어야 하는 기본 개념을 전달하고 이 분야에 입문할 수 있도록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심화 내용보다는 기초 및 기초 응용 수준의 중요 개념들을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과목을 운영하고자 한다.
대학물리
(Physics for engineers)
본 강의에서는 물리학의 기초부분으로 역학과 전자기학을 다룬다. 물리학의 기초를 전반적으로 다루며, 물리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를 통하여 물리적 사고방식을 기르고 물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자연계를 관찰하는 데 필요한 원리를 터득하여 자연 현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리학의 여러 분야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물리학과 공학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한다.
데이터과학실습
(Data Science Programming)
본 교과목의 수준은 데이터 과학 분야의 입문 단계이며, 데이터 과학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의 과정을 실습으로 진행하며, 이에 대한 과제 등을 통해 교육목표를 달성한다.
동역학
(Dynamics)
동역학은 기계제어공학과의 자격증 과목으로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운동법칙을 논리적으로 적용하여 그 해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수업의 목표로 한다. 움직이는 물체의 궤적, 즉 변위, 속도와 가속도를 학습한 후 Newton의 운동법칙, 일, 에너지와 운동량법칙 등을 적용한다. 물체를 Particle과 Rigid Body로 나누어 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힘에 의해 나타나는 운동과 주어진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필요한 힘 등의 동력학적 성질을 규명, 혹은 관찰할 수 있는 운동변수를 얻어서 이 운동을 공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을 교육 목표로 한다.
동역학해석
(Dynamics analysis)
본 교과목은 로봇, 드론,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의 실제 거동을 다물체동역학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분석, 해석하는 실습 중심 수업임. 핵심이론(계의 모델링, 구속 방정식, 접촉,마찰, 유연체-강성 연성, 수치적 해석)을 답축적으로 다루고 다물체동역학 상용프로그램인 RecurDyn을 활용하여 기구 모델링, 해석, 설계 개선, 검증의 전 과정을 프로젝트 형태로 수행함.
드론3D설계
(Drone 3D Modeling)
다양한 형태의 드론 설계를 위하여 3차원 환경에서의 기구 설계 능력을 습득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이를 위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응용력을 키우고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CAD 설계 프로그램 및 동작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학습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드론공학개론
(Introduction to Drone Engineering)
본 과목은 드론, 로봇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관련 분야 전반에 대한 기술적인 개괄을 제공하는 과목이다. 드론 및 로봇 분야와 관련된 기후 등 자연현상과 특성, 유무인 항공기, 로켓 발사체 및 인공위성을 설계하고 시험하는 공학적 원리 및 제반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 기술분야로는 공기역학, 구조설계 및 해석, 항공기 추진 공학, 비행성능, 비행제어 항법에 대한 개요와 기초 원리 및 기술적인 이슈들,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드론과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in Drones)
본 과목에서는 드론 기술에 접목되고 있는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 및 원리를 학습한다. 최근 시판중인 드론에는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한 관제기능, 조종자 추척기능, 장애물 회피기능, 자율주행기능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고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습득한다.
드론관제사
(Drone Controller)
드론관제사란 드론의 이동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행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상황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4차 산업혁명의 드론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인력 자원이다. 드론관제사에게는 드론 비행 충돌방지를 위한 관제 및 교통정보 제공 등의 임무가 주어진다. 본 과목에서는 드론관제 및 교통정보 등 드론관제사가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해 다룬다.
드론로봇최적설계
(Drone and robot design optimization)
드론과 로봇 시스템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 최적화 핵심 이론을 예시 중심으로 학습하고, 상용 최적화 도구인 PIAnO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실험계획, 대리모델, 다목적 파레토 해 탐색, 민감도, 강건성 분석까지 일관된 내용을 수행하는 실무형 교과목임
드론로봇CAD설계
(Drone·Robot CAD Design)
기계 제품의 설계를 위하여 2차원 환경에서의 CAD 설계 능력을 습득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이를 위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응용력을 키우고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CAD 설계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학습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드론로봇SW
(SW for Drone and Robot)
본 과목은 드론 및 로봇의 개발 및 시뮬레이션에 활용되는 다양한 SW를 소개하고 각각의 역할을 학습하여 개발자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식을 교육하기 위하여 개설하였다. 드론 SW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임베디드 시스템 SW 와 모터 및 센서기술을 연동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한 SW를 소개하여 학습자들이 실무 적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드론모의조종
(Drone Simulated Flight)
본 과목을 통해 드론 모의 조종을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가상 공간에서 드론을 조종해보고 드론 제어 이론 및 조종기술을 습득한다. 다양한 시뮬레이터를 경험하며 시뮬레이터 간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실전 조종에 앞서 가상 공간에서 안전하게 드론의 조종기술을 습득하도록 돕기 위하여 본 과목을 개설하였다.
드론영상제작및활용
(Using Drones in Video Production)
본 과목은 현재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드론 조종, 촬영, 편집 등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드론으로 높은 품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장비를 알아보고 상용 드론을 활용하여 비디오 및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영상 산출물을 만드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드론 영상촬영 기술을 통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드론운용및정비
(Drone Operation and Maintenance)
본 수업에서는 전문적인 산업용 드론을 제작할수 있게 하고 최신 산업용 부가장치 설정능력및 최적의 기체 셋팅 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산업용 드론의 고장증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긴급대처및 효율적 정비기술을 습득한다.
드론표준학개론
(Drone standard and regulations)
드론표준학개론은 드론 산업에서 필수적인 법규와 표준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설계·시험·운영 전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임. 국제·국내 표준 체계의 구조와 개정 흐름을 파악하고, 표준 조항을 설계 요구사항으로 전개한 뒤 시험·검증 계획으로 연결하는 실무 역량을 키음.
디지털논리회로
(Digital Logic Circuit)
최근 컴퓨터의 성능은 반도체 소자의 개발에 힘입어 급격히 향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생활 주변의 많은 기기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논리회로가 내장되어 그 기능이 확장되고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보다 세밀히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 논리 회로에 대한 개념과 설계 방법 학습을 그 목표로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사물인터넷실험
(Raspberrypie-IoT Experiment)
기본적인 디지털 논리소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논리 회로를 구성하는 실험을 학습한다. 가상실험실 환경에서 Multisim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디지털 논리 회로를 실제 환경처럼 직접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학습한다. 기본 논리게이트, 조합논리회로, 순서회로 등을 구성하고 기능 동작을 실험한다.
로봇공학개론
(Introduction to Robotics)
로봇공학이란 로봇에 관한 기술인 로봇의 설계, 구조, 제어, 지능, 운용 등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본 과목에서는 로봇 공학의 개론과 로봇이 지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주요 주제로는 행위 기반 행동 선택 알고리즘, 기초 기구학, 행동 계획, 지도 구축과 이동, 생체 모방 로봇, 분산 로봇 공학을 다룬다.
로봇설계공학
(Robot Design Engineering)
로봇설계공학은 로봇 키트를 기반으로 로봇의 핵심 기능을 설계·구현·검증하는 실습 중심 과목임. 수강생은 제어, 비전 인식, 협동 로봇, 자율주행을 아우르는 통합 코딩 경험을 통해 센서?액추에이터?알고리즘?시스템 통합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함. 특히 실제 로봇 키트와 시뮬레이터를 병행하여 하드웨어 제약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동시에 고려하는 설계 사고를 기를수 있음.
메카트로닉스
(Mechatronics)
메카트로닉스는 기계제어공학과의 자격증 과목으로서 기계공학, 전자공학을 융합한 학문이며, 더 간편하고 경제적이고 필요한 시스템의 성능 요구에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기전자 기초이론, 디지털회로 설계,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의 통합 설계와 기계요소에 대한 해석과 설계 및 선정방법 등을 강의 목표로 한다.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본 교과는 현대 및 미래 제조업의 핵심 이슈와 기술 흐름을 이해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스마트팩토리 사례를 통해 기술, 프로세스 조직이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학습하는 입문 개론형 교과임. AI 기반 품질 예측과 예지보전, 로보틱스, 협동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사물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수집,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공정 시뮬레이션 등 주요 구성요소를 산업 동향과 함께 다루며 제조 관점에서 실제 적용 효과를 다룸.
시퀀스제어
(Sequence Control)
시퀀스 제어는 산업 자동화에서 공정과 기계를 제어하는 중요한 기술로, 다양한 순차적 동작을 논리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본 교과목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릴레이 논리 등 시퀀스 제어의 기본 개념과 응용 기술을 다룬다.
신재생에너지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핵심이 되는 태양광 모듈, 태양광 인버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축을 분야별로 학습하고 전기설비 및 전기설비규정과 내선공사를 이해하고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실험계획법
(Design of Experiments)
시스템을 분석 및 설계함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시스템의 민감도 분석은 설계의 방향을 결정함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실험계획법이란 효율적인 실험 방법을 설계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계학의 응용 분야이다. 본 과목에서는 실험계획법의 개념과 절차 등에 대해 익히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험계획법의 기법을 익힌다.
아두이노전자공학실험
(Electricity Experiment using Arduino)
전자회로 부품인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 등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이오드를 이용한 각종 응용회로, 트랜지스터 바이어스회로와 증폭회로, 그리고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연산회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학습한 회로는 MultiSIM을 이용하여 전자소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회로 동작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알고리즘
(Algorithm)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알고리즘 과목은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칩니다.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게 됩니다. - 프로그래밍 기술 기반 마련 :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밍의 기본이며,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효율적인 코드 작성 방법과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는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유공압회로설계
(Design of hydraulic and pneumatic circuit)
유체동력, 유동 현상, 유·공압 기기의 내부구조와 기능, 유·공압 기기의 기호, 유·공압회로의 구현, 유·공압시스템의 설계와 해석, 산업 응용에 대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본 과목을 통해서 유·공압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 부품과 시스템과 관련된 이론과 사용사례를 하나씩 익혀 유·공압 기술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유·공압 기술에 대한 이론과 설계 능력을 향상시킨다.
재료역학
(Mechanics of Materials)
재료역학은 기계제어공학과의 자격증 과목으로서 기계, 건축물, 다리 따위의 구조물을 이루는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과목에서는 구조물의 안전한 설계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거동 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물 및 그 부재들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 변형과 변형률 결정 등을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는 응력의 개념, 응력과 변형률, 축방향 하중, 비틀림, 순수 굽힘, 보의 굽힘 해석과 설계 등등에 관한 학습 및 실습 교육을 목표로 한다.
전산유체및구조해석
(Computational Fluid-Structure Interaction)
본 강의는 공기역학, 압축성유체역학 등에서 학습하였던 유동 미분 방정식을 수치해석하는 과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들을 다룬다. 수치기법들을 기반으로 1차원, 2차원 유동을 계산하는 수치해석코드를 만들고, 실제적인 유동문제 해석에 적용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해본다. 또한 유한요소법을 통해 탄성 또는 비탄성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거동해석을 비롯하여 유체유동과 열전달 해석, 전자기장 해석과 같은 넓은 분야의 해석과 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한 코드를 구성하고 실습해보며 구조물의 형태를 분석해 본다.
전자회로
(Electronic Circuit)
전자회로는 전기·전자·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IT 분야에서 다루는 중요한 기초과목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거의 모든 요소들이 전자회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는 매우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다이오드, 정류회로, 트랜지스터, 증폭기, 연산증폭기, 능동필터 등을 교육한다.
정역학
(Statics)
정역학은 기계제어공학과의 기초 과목으로서 정지해 있거나 일정속도로 운동하는 질점과 강체의 역학을 학습한다. 또한 외력을 받는 물체의 평형조건에 대하여 다양한 공학적 예를 들어 교육한다. 본 과목에서는 일반적 원리, 벡터, 힘과 모멘트, 질점과 강체의 평형조건, 구조 해석, 내력, 마찰, 무게중심과 도심, 관성모멘트, 가상일 등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제어란 어떤 대상시스템의 상태나 출력이 원하는 특성을 따라가도록 입력신호를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을 말하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을 플랜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기라고 부른다. 본 과목에서는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기본으로 라플라스 변환, 전달함수를 학습하며, 과도응답 및 편차와 감도, 그리고 주파수 응답에 대한 해석 기법을 학습한다. 또한, 상태방정식에 대한 해법과 시퀀스 제어에 대해 이해한다.
프로그래밍언어(C++)
(Programming Language(C++))
C++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객체지향 언어의 이론과 특성을 실제 언어로 구현함으로써 프로그래밍 기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항공공학개론
(Introduction to Aerospace Engineering)
본 과목은 항공기 설계와 운영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함. 항공기의 분류와 역사를 시작으로, 고정익 항공기와 회전익 항공기의 차이점, 에어포일의 유체역학적 특성, 항공기의 성능 및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강의를 진행. 학생들은 항공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설계 및 분석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항공기상
(Aviation Weather)
항공기상이란 항공기의 운항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분야를 다루고 있는 기상학의 한 응용 분야이다. UAS를 포함한 항공기는 기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본 항공기상 과목에서는 항공기를 운항하고 개발하는 항공종사자로서 필수적으로 인지해야 할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주는 기상 요소에 대해 연구하고 학습한다.
항공유체역학
(Aeronautical Fluid Dynamics)
항공기는 대기 상태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아 대기 공간을 운동하는 물체로 정의한다. 항공역학은 대기 중에서 움직이는 물체와 대기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동역학 분야이다. 본 과목을 통해 항공기 비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회로이론
(Circuit Theory)
회로는 전자소자에 의해 연결 구성된다.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전압소스, 전류소스, 전송라인, 스위치 등이 대표적 전자부품이다. 본 과목은 전기 및 전자회로를 해석하기 위한 기본 지식을 교육하며 키르히호프의 전압 및 전류 법칙, 옴의 법칙, 노턴의 정리, 테브난의 정리, 중첩 원리 등을 학습한다.
PLC제어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는 종래에 사용하던 제어반 내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LSI,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시킴으로써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제어 장치이다. 본 과목에서는 PLC 원리, PLC기능 및 구조, 프로그래밍기법, PLC 연산처리 등을 학습한다.
ROS프로그래밍입문
(Robot operating system programming)
ROS프로그래밍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을 표준 프레임워크로 체계화하는 과목으로 시뮬레이션과 실제 하드웨어 연동까지 로봇 응용을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함. 이동로봇, 드론 등 다양한 플랫폼을 예시로 센서 통합, 상태추정, 네비게이션, 경로계획 및 제어 등 흐름을 실습 중심으로 다루는 과목.
상기 콘텐츠 담당부서 로봇융합학과 (Tel : 02-944-5642)

퀵메뉴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